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네트워크 기본 용어 정리 – 꼭 알아야 할 핵심 개념 가이드

by business27 2025. 9. 10.

네트워크는 현대 사회의 모든 IT 인프라를 지탱하는 기반입니다. 하지만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는 생소한 용어가 너무 많아 이해하기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IP 주소", "DNS", "방화벽" 같은 단어는 자주 듣지만 정확히 어떤 역할을 하는지 설명하기 쉽지 않죠. 이번 글에서는 네트워크에서 자주 사용되는 주요 용어를 하나씩 풀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네트워크 공부를 시작하는 분들에게 사전 같은 참고용 글이 되기를 바랍니다. 네크워크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같이 살펴봐보시죠.

 

 

 

 

 

네트워크 기본 용어 정리 – 꼭 알아야 할 핵심 개념 가이드

 

 

 

 

 

 

IP 주소 (IP Address)

  • 정의: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에 의해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주소
  • 종류: IPv4: 32비트 주소 체계 (예) 192.168.0.1), IPv6: 128비트 주소 체계, (예) 2001:0db8:85a3::8a2e:0370:7334)
  • 역할: 데이터가 목적지 장치를 정확히 찾을 수 있도록 경로를 지정
  • 예시: 우리가 웹 브라우저에서 google.com을 입력하면 실제로는 해당 도메인의 IP 주소로 연결됩니다.

MAC 주소 (MAC Address)

  • 정의: 네트워크 장치(네트워크 카드, 무선랜 어댑터 등)에 부여된 고유한 하드웨어 주소
  • 형식: 16진수 6쌍으로 표현 (예: 00:1A:2B:3C:4D:5E)
  • 역할: 같은 네트워크 내에서 장치를 구분할 때 사용
  • 비유: IP 주소가 "집 주소"라면, MAC 주소는 "집의 출입문 번호판"과 같습니다.

라우터 (Router)

  • 정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데이터가 최적의 경로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경로를 설정하는 장치
  • 역할: 인터넷과 가정/회사 내부망을 연결, 패킷이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도록 최적 경로 선택
  • 예시: 집에서 사용하는 Wi-Fi 공유기 안에도 라우터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스위치 (Switch)

  • 정의: 네트워크 내 장치들을 연결하고, 목적지 MAC 주소에 따라 데이터를 전달하는 장치
  • 역할: 데이터가 불필요하게 모든 장치로 퍼지지 않고 필요한 곳으로만 전송되도록 함
  • 예시: 회사 사무실에서 여러 대의 PC를 연결할 때 스위치를 사용합니다.

DNS (Domain Name System)

  • 정의: 사람이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
  • 역할: www.naver.com → 223.130.195.95
  • 예시: DNS가 없다면 사용자는 모든 웹사이트를 숫자 IP 주소로 외워야 합니다.

게이트웨이 (Gateway)

  • 정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출입구 역할을 하는 장치
  • 역할: 내부망에서 외부 인터넷으로 나가는 관문
  • 예시: 집에서 PC가 인터넷으로 접속할 때, 공유기의 IP가 게이트웨이 주소 역할을 합니다.

프로토콜 (Protocol)

  • 정의: 네트워크에서 데이터가 어떻게 교환되어야 하는지를 정한 규칙과 약속
  • 대표 예시: HTTP/HTTPS (웹 페이지 전송), FTP (파일 전송), SMTP/IMAP/POP3 (이메일 송수신)
  • 비유: 사람이 서로 대화할 때 지켜야 하는 언어와 문법에 해당합니다.

방화벽 (Firewall)

  • 정의: 내부 네트워크와 외부 네트워크 사이에서 허용된 트래픽만 통과시키고, 나머지를 차단하는 보안 장치
  • 종류: 하드웨어 방화벽, 소프트웨어 방화벽
  • 예시: 회사에서 특정 포트(예: 게임 포트)를 막아 업무용 네트워크를 보호하는 경우

VPN (Virtual Private Network)

  • 정의: 공용 인터넷 망을 이용하면서도 안전하게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가상의 사설 네트워크를 만드는 기술
  • 역할: 데이터를 암호화해 안전한 통신 제공
  • 예시: 원격 근무자가 회사 내부 시스템에 접속할 때 VPN을 사용합니다.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 정의: 사설 IP 주소와 공인 IP 주소를 변환하는 기술
  • 역할: 여러 대의 장치가 하나의 공인 IP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
  • 예시: 집에서 스마트폰, PC, 태블릿이 모두 같은 인터넷 회선을 통해 접속하는 경우

대역폭 (Bandwidth)

  • 정의: 네트워크에서 단위 시간당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
  • 단위: Mbps, Gbps
  • 비유: 도로의 차선 수와 비슷합니다. 차선이 많을수록 더 많은 차량(데이터)이 동시에 이동할 수 있습니다.

지연 시간 (Latency)

  • 정의: 데이터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
  • 영향: 온라인 게임, 화상 회의처럼 실시간성이 중요한 서비스에서 매우 중요
  • 예시: 지연 시간이 높으면 게임 캐릭터가 늦게 반응하거나 화상 통화가 끊기는 현상이 발생

TCP와 UDP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보장
  • 데이터 손실 시 재전송
  • 예시: 웹 브라우징, 이메일

UDP (User Datagram Protocol)

  • 빠른 전송 가능, 신뢰성은 낮음
  • 데이터 손실이 일부 발생해도 크게 문제 없는 서비스에 적합
  • 예시: 온라인 게임, 스트리밍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정의: IP 주소를 이용해 해당 장치의 MAC 주소를 알아내는 프로토콜
  • 예시: "이 IP 주소 가진 장치 누구야?"라고 네트워크에 물어보는 것과 비슷

CDN (Content Delivery Network)

  • 정의: 전 세계에 분산된 서버를 통해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서버에서 콘텐츠를 전달하는 네트워크
  • 효과: 속도 향상, 서버 부하 분산
  • 예시: 유튜브, 넷플릭스가 빠르게 영상을 스트리밍할 수 있는 이유

QoS (Quality of Service)

  • 정의: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해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기술
  • 예시: 기업 네트워크에서 화상 회의 트래픽을 우선 처리하고, 파일 다운로드는 후순위로 두는 경우

IDS/IPS

  • IDS (Intrusion Detection System): 비정상적인 네트워크 활동을 탐지해 관리자에게 알림
  • IPS (Intrusion Prevention System): 탐지뿐 아니라 실시간으로 차단까지 수행
  • 예시: DDoS 공격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공격 트래픽을 차단

클라우드 네트워크

  • 정의: 클라우드 환경에서 제공되는 가상 네트워크 인프라
  • 예시: AWS VPC(Virtual Private Cloud), Azure Virtual Network
  • 의의: 기업이 자체 서버실을 운영하지 않아도 네트워크를 손쉽게 설계 가능

토폴로지 (Topology)

  • 정의: 네트워크 장치들이 물리적으로 또는 논리적으로 연결된 형태
  • 종류: 버스형, 스타형, 링형, 메시형
  • 예시: 집에서는 주로 스타형(Wi-Fi 공유기 중심 구조)을 사용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 정의: 장치에 자동으로 IP 주소를 할당하는 프로토콜
  • 역할: 사용자가 일일이 IP 주소를 입력할 필요 없이 네트워크 접속 가능
  • 예시: 노트북이 카페 Wi-Fi에 연결될 때 자동으로 IP를 받는 과정

 

 

정리

네트워크는 수많은 장치와 프로토콜이 서로 맞물려 돌아가는 복잡한 시스템입니다. 하지만 핵심 용어들의 개념과 역할을 알면 훨씬 이해하기 쉬워집니다.

  • IP/MAC 주소: 네트워크에서 장치를 식별
  • 라우터/스위치/DNS: 데이터가 올바른 곳으로 가도록 안내
  • 방화벽/VPN/암호화: 안전한 통신을 보장
  • TCP/UDP, 대역폭, 지연 시간: 성능과 서비스 품질을 좌우하는 요소

오늘 정리한 기본 용어만 이해해도, 뉴스에 나오는 보안 사고나 네트워크 관련 이슈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다음에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주로 사용되는 용어를 주제를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