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네트워크의 계층 구조 완전 정리 – OSI 7계층과 TCP/IP 4계층

by business27 2025. 9. 7.

우리가 인터넷을 통해 웹사이트에 접속하거나, 메신저로 메시지를 보내고, 온라인 게임을 즐기는 모든 순간에는 보이지 않는 거대한 네트워크 구조가 작동하고 있습니다. 이 네트워크는 단순히 컴퓨터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것을 넘어, 데이터가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전달되도록 계층 구조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네트워크를 이해하는 데 있어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개념인 계층 구조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같이 살펴봐보시죠!!

 

 

 

 

 

 

네트워크의 계층 구조 완전 정리 – OSI 7계층과 TCP/IP 4계층

 

 

 

 

 

 

왜 네트워크를 계층 구조로 나눌까?

네트워크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과정을 생각해봅시다. 한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 www.example.com을 입력했을 때, 이 요청은 단순히 한 줄의 글자가 아닙니다. 브라우저는 이 요청을 해석하고, 운영체제와 네트워크 카드, 라우터, 케이블을 거쳐 인터넷 망을 타고 멀리 떨어진 서버까지 전달합니다. 이때 각 단계마다 필요한 역할이 달라지는데, 만약 이런 모든 과정을 하나의 거대한 시스템으로만 관리한다면 문제 발생 시 원인 파악이 거의 불가능할 것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계층 구조(Layered Architecture)’라는 개념이 도입되었습니다. 즉, 네트워크를 기능별로 나누어 각 계층이 자신의 역할만 충실히 수행하고, 다른 계층과는 명확히 정의된 방식으로만 소통하게 만든 것이죠. 덕분에 네트워크는 유연하고 확장 가능하며, 오류가 발생했을 때도 특정 계층을 중심으로 문제를 진단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OSI 7계층 모델

네트워크 계층 구조를 이야기할 때 가장 먼저 등장하는 개념은 바로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계층 모델입니다. 이는 국제 표준화 기구(ISO)가 네트워크 통신 과정을 7단계로 나눈 이론적 모델입니다.

 

OSI 7계층의 구성과 역할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 전기적, 물리적 신호를 주고받는 단계
  • 케이블, 허브,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 포함
  • 예: 랜선이 끊기면 데이터가 아예 전달되지 않음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 물리 계층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오류 없이 전달
  • MAC 주소를 사용해 장치를 구분
  • 예: 스위치 장비가 이 계층에서 작동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라우팅(경로 설정)
  • IP 주소를 사용하여 컴퓨터 간 통신
  • 예: 라우터가 이 계층에서 동작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 보장
  • TCP/UDP 프로토콜 사용
  • 예: 웹 브라우징 시 TCP, 스트리밍 시 UDP 활용

세션 계층 (Session Layer)

  • 통신 세션을 관리 (연결 시작, 유지, 종료)
  • 예: 화상회의 도중 연결을 유지하는 기능

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

  • 데이터의 형식 변환, 압축, 암호화
  • 예: 이미지 파일을 전송할 때 JPEG 압축, HTTPS 암호화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 최종 사용자와 맞닿아 있는 계층
  • 웹 브라우저, 이메일 클라이언트, 메신저 등이 사용
  • 예: HTTP, FTP, SMTP 프로토콜

이처럼 OSI 7계층은 이론적으로 네트워크 동작을 세밀하게 나누어 설명합니다. 하지만 실제 구현에서는 모든 계층이 명확히 구분되지는 않으며, 이 모델은 주로 학습용 또는 개념 설명용으로 많이 활용됩니다.

 

 

 

TCP/IP 4계층 모델

실제 인터넷 환경에서는 OSI 7계층을 그대로 쓰지 않고, 보다 단순화된 TCP/IP 4계층 모델을 주로 사용합니다. 이는 미국 국방성의 ARPANET 프로젝트에서 시작되어 지금의 인터넷 표준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TCP/IP 4계층 구성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Network Interface Layer)

  • OSI의 물리 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에 해당
  • 실제 하드웨어 장비와 물리적 연결 담당

인터넷 계층 (Internet Layer)

  • OSI의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
  • IP 주소 기반으로 데이터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 OSI 전송 계층과 동일
  • TCP/UDP를 이용해 애플리케이션 간 통신 보장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 OSI의 세션, 표현, 응용 계층을 모두 포함
  • 웹, 이메일, 파일 전송 등 사용자 서비스 제공

즉, TCP/IP 모델은 실제 서비스 환경에 맞춰 OSI 모델을 단순화한 구조로 이해하면 됩니다.

 

 

 

 

OSI vs TCP/IP – 비교와 활용

 

구분 OSI 7계층 TCP/IP 4계층

계층 수 7개 4개
개발 목적 이론적 학습 및 표준화 인터넷 실무 적용
세분화 정도 매우 세밀 (세션/표현 계층 존재) 단순화 (응용 계층에 통합)
활용 사례 네트워크 공부, 문제 진단 실제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실제 IT 현장에서 네트워크 장비나 소프트웨어를 다룰 때는 TCP/IP 4계층 개념이 더 자주 사용됩니다. 하지만 네트워크 문제를 진단하거나, 데이터 흐름을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OSI 7계층이 큰 도움이 됩니다.

 

 

 

일상 속 예시로 이해하는 네트워크 계층

예를 들어, 우리가 카페에서 노트북으로 유튜브 영상을 시청한다고 해봅시다. 노트북이 Wi-Fi 공유기에 연결되는 과정은 물리/데이터 링크 계층의 역할입니다. 노트북은 인터넷 망을 타고 유튜브 서버의 IP 주소를 찾아갑니다. 이는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입니다. 영상 데이터는 안정적으로 끊기지 않고 전송되어야 하는데, 이는 전송 계층(TCP/UDP)이 담당합니다. 마지막으로 브라우저 화면에서 영상이 재생되는 것은 응용 계층의 기능이죠. 이처럼 우리가 평소 무심코 사용하는 인터넷 서비스도 사실은 계층 구조가 유기적으로 맞물려 돌아가는 결과물입니다.

 

 

정리

네트워크의 계층 구조는 단순히 이론적인 개념이 아니라, 우리가 매일같이 사용하는 인터넷 서비스의 기반이 되는 중요한 원리입니다. OSI 7계층은 이론적으로 네트워크 동작을 세밀히 구분하여 학습과 문제 해결에 유용하고, TCP/IP 4계층은 실제 인터넷 환경에서 널리 활용되는 실질적 모델입니다. 네트워크를 배우거나 다룰 때 이 두 가지 모델을 잘 이해하고 있으면, 문제 해결 능력이 크게 향상될 뿐 아니라, 복잡한 인터넷 구조를 훨씬 명확하게 바라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