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SQL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의 구조 이해하기 – 데이터 세계의 기본 설계도

by business27 2025. 8. 1.

현대의 IT 시스템은 대부분 데이터로 움직입니다. SNS에 올리는 글, 쇼핑몰의 상품 정보, 병원의 환자 기록, 은행의 거래 내역까지, 우리가 접하는 대부분의 서비스는 방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운영됩니다. 그리고 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이며, 이 데이터베이스를 다루기 위한 언어가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SQL이 무엇인지, RDBMS가 어떤 구조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지, 그리고 이 둘이 어떻게 함께 작동하는지를 서술형으로 풀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데이터베이스를 처음 배우는 분들이 전체적인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차근차근 정리했습니다.

같이 한 번 알아보시죠.

 

 

 

SQL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의 구조 이해하기 – 데이터 세계의 기본 설계도

 

 

 

 

SQL이란 무엇인가?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은 말 그대로 구조화된 데이터를 다루기 위한 언어입니다. 우리가 어떤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말할 때, SQL은 그것을 데이터베이스에게 전달하는 “질문”이자 “명령”입니다.

예를 들어, “서울에 사는 고객 목록을 보여줘”라는 요구는 SQL에서는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SELECT name, phone
FROM customers
WHERE city = 'Seoul';


SQL은 단순히 데이터를 조회할 뿐 아니라, 데이터를 삽입(INSERT), 수정(UPDATE), 삭제(DELETE)하거나, 테이블이나 인덱스 등의 구조를 만들고 관리하는 데도 사용됩니다. 즉, SQL은 데이터를 정의하고 조작하며, 통제하는 표준 언어입니다.

 

 

 

RDBMS란 무엇인가?

RDBMS(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즉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데이터를 표 형식(table)으로 저장하고, 테이블 간의 관계를 설정하여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

이 구조는 1970년대 IBM의 연구원이었던 에드거 F. 커드(Edgar F. Codd)의 논문에서 제안된 관계형 모델(Relational Model)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관계형이라는 말은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관계"와 비슷한 의미로, 데이터 간의 연관성을 테이블 간의 관계로 표현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RDBMS의 핵심 구성 요소

1) 데이터베이스 (Database)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개의 테이블, 뷰(view), 인덱스(index), 트리거(trigger) 등을 담고 있는 최상위 저장소입니다.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2) 테이블 (Table)

테이블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로, 엑셀의 시트처럼 행(Row)과 열(Column)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테이블은 하나의 주제 또는 개체(Entity)를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customers, orders, products는 각각 고객, 주문, 상품을 나타냅니다.

예시:

id name city
1 Alice Seoul
2 Bob Busan

 

 

3) 컬럼 (Column)

컬럼은 테이블의 속성 또는 필드입니다.

위 예시에서 name, city는 컬럼이며, 각 컬럼은 데이터 타입(문자열, 숫자, 날짜 등)을 갖습니다.

 

 

4) 행(Row)

각 행은 하나의 레코드(Record)이며, 하나의 개별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예: 한 명의 고객, 하나의 주문, 하나의 게시글 등

 

 

5) 기본 키(Primary Key)와 외래 키(Foreign Key)

기본 키(Primary Key): 테이블에서 각 행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컬럼 (예: id)

외래 키(Foreign Key): 다른 테이블의 기본 키를 참조하여 테이블 간의 관계를 표현

예시: orders 테이블에 있는 customer_id는 customers.id를 참조할 수 있음 → 주문과 고객을 연결

 

 

6) 인덱스(Index)

인덱스는 책의 목차처럼, 데이터를 더 빠르게 찾기 위한 장치입니다.

검색 속도는 향상되지만, 인덱스가 많아지면 쓰기 성능은 떨어질 수 있습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의 "관계"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가장 강력한 특징은 테이블 간의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중복을 최소화하면서도 데이터를 유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 예시: 고객과 주문
customers 테이블에는 고객 정보가,

orders 테이블에는 주문 정보가 들어 있습니다.

각 주문에는 customer_id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customers 테이블의 id를 참조합니다.

 

SELECT orders.id, customers.name
FROM orders
JOIN customers ON orders.customer_id = customers.id;

 

이 쿼리는 주문 정보와 고객 정보를 조합해서 보여주는 예시입니다.
이처럼 여러 테이블을 조합할 수 있는 것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핵심입니다.

 

 

SQL과 RDBMS의 관계

SQL은 RDBMS와 대화를 하기 위한 언어입니다. 우리가 SQL 쿼리를 작성하면, RDBMS는 그것을 해석해서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합니다:

어떤 테이블에서

어떤 조건에 맞는 데이터를

어떤 방식으로 정렬하거나 그룹화해서

어떤 형식으로 보여줄지

 

즉, SQL은 사용자의 요구를 RDBMS에게 명확히 전달하는 통역사 역할을 합니다.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장점

1. 데이터 무결성: 기본 키, 외래 키 등을 통해 잘못된 데이터 삽입 방지

2. 중복 최소화: 정규화(Normalization)로 불필요한 중복 제거

3. 유지보수 용이: 구조화된 데이터로 분석 및 관리가 쉬움

4. 표준화된 언어(SQL) 사용

 

🧠 마무리: 데이터를 다룰 준비가 되셨나요?

SQL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다루는 거의 모든 분야에서 기초이자 중심 기술입니다. 구조적이고 명확한 데이터 저장 방식, 관계를 통한 데이터 연결, 그리고 표준화된 쿼리 언어인 SQL 덕분에 RDBMS는 지금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데이터 분석, 백엔드 개발, 시스템 운영, 머신러닝 등 어떤 분야로 진출하든 간에 SQL과 관계형 모델의 이해는 반드시 필요한 기본기입니다. 정보화 시대에 수많은 데이터의 종류들이 있는 요즘 데이터를 더 잘 이해하는 시간이 되었길 바랍니다!